티스토리 뷰
목차
하마스가 2023년 10월7일 안식일에 이스라엘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였다.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관계는 원래부터 좋지 않았기 때문에 평소 크고 작은 공습이 발발한다. 그렇다면 왜 이지역에서 항상 끊임없이 문제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하마스와 이스라엘 분쟁의 원인
팔레스타인 지역 분쟁이 한세기 가까이 이어져 오고 있다.
사실 원래부터 이 지역은 십자군 전쟁으로 알려지기도 한 아랍인들과 유대인들과의 오래된 분쟁 지역이다.
하지만 현재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이 지역의 분쟁 원인은 190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까지 중동에 총성이 멈추지 않은 직접적인 원인으로 당시 최강대국이었던 '해가 지지않은 나라' 영국은 자신의 이해관계를 계산하여 아랍인과 유대인들에게 이 지역에 각자의 국가를 세워주기로 이중 외교를 하였기 때문이다.
중동을 화약고로 만든 영국의 이중 외교
당시 이 지역을 점령하고있던 오스만제국을 멸망시키기위해 영국은 아랍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의 붕괴를 도움을 준다면 팔레스타인 지역에 아랍 독립국가를 지지하여 주겠다고 하였다. 이 내용을 맥마흔 선언이라고 한다.
한편 그 당시 유대인들은 상당한 자금력이 있었는데 막대한 전쟁자금이 필요했던 영국은 유대인들의 자금력과 자신의 이해관계를 계산해 유대인들에게도 팔레스타인 지역이 유대인의 고향임을 지지한다. 이 내용을 벨푸어 선언이라고 한다.
세계 2차대전 종전 후 영국의 영향력은 약해졌지만 과거에 했던 이중 외교는 팔레스타인 지역을 중동의 화약고로 만들게 되는데 세계 2차대전 후 최강대국으로 급부상한 미국과 UN의 지지를 얻은 유대인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이스라엘을 건국하게 되지만 아랍인들 또한 팔레스타인의 영유권을 주장한다.
그리고 당시 이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지 못한채 영국은 UN에게 넘기다시피 하며 철수를 하고 그 결과 이지역의 분쟁은 오늘까지도 국제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안고있다.
하마스는 어떤 단체인가
하마스는 이슬람 저항 운동이라는 아랍어의 약자이다.
1987년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에 반기를 드는 1차 대규모 봉기(인티파다)가 일어났는데 이때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의 팔레스타인 지부가 떨어져나와 아메드 야신이 창설한 무장단체이다.
1차 대규모 봉기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이스라엘과 평화협상을 하는것과 별개로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대해 강경무장투쟁 노선을 유지하였다.
2005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철수하였을때 하마스는 당시 팔레스타인의 또다른 정파인 파타가 집권하고 있는 가자지구에서 총선거를 실시하였는데 이때 하마스가 승리하여 본격적으로 파타를 몰아내고 가자지구를 통치하게 된다.
그렇게 팔레스타인은 강경 무장투쟁 조직인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와 이스라엘과 평화공존을 원하는 또다른 팔레스타인의 정파 파타가 통치하는 서안지구로 각각 나뉘게 된다.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관계
하마스는 아랍인들이 오랫동안 살아왔던 영토를 다시 찾아온다는 확실한 명분아래 이스라엘에 무장투쟁을 하기때문에 둘사이에 평화는 어려워보인다.
또한 이번에 공습을 감행하는 이유 중 하나도 이슬람 국가들의 복잡한 국제적 관계도 한 몫 한것으로 보고있다.
이슬람국가 중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려고 하자 이를 방해하기 위해 이번 공습을 감행하였다고 분석을 하기도 하는데 같은 이슬람인 하마스에서 이스라엘과 투쟁을 이어가는데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스라엘과 관계를 정상화하면 사우디아라비아도 상당히 난처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이슬람의 국가인 이란은 이미 하마스를 지지하기 때문에 크게 보면 이번 공습은 미국과 사우디아리비아 이스라엘의 복잡한 중동관계에 경고를 던지는 공습이라고 분석을 하고있다.